loading...
국립부경대-동서대학교 공동학과 운영
디지털금융학과에서는 금융시장이 커지면서 투자 관련 의사결정이 점점 어려워져 수학, 통계 및 프로그램을 통해 투자법칙을 찾아내 투자 모델을 만들거나 금융시장을 예측하는 역량을 퀀트((QUANT, quantitative analyst)로 정의합니다. 미래 금융산업을 선도할 퀀트형 핀테크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재무/금융이론 및 코딩 기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, 통계 지식 중심 데이터 사이언스 역량을 겸비한 육성모델 구축을 목표로 합니다. 디지털금융학과는 4차 산업혁명에 걸맞게 디지털 금융혁명을 이끌 수 있는 핵심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운영하여 전문적인 성공을 이루는 토대가 될 것입니다.
01 교육목표
- 금융지식과 ICT 기초공학 창의성을 겸비한 ICT-금융융합 전문인력 양성
-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핀테크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양성
- 문제해결을 위한 통섭적 사고력과 효과적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인재양성
02 인재상
- 미래 금융산업을 선도할 퀀트(QUANT, quantitative analyst)형 핀테크 전문인
▶ 금융 비즈니스 전문인
비즈니스 기획 · 운영 능력
경제현상 및 경영에 대한 지식 이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능력
금융상품 개발 · 운용 능력
금융기관 및 금융시장에 관한 지식 이해를 바탕으로 금융상품을 개발‧운용하는 능력
▶ 금융 빅데이터 전문인
빅데이터 분석 능력
빅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과 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
경영정보 활용 능력
정보기술을 통해 금융비즈니스 전략 수립 및 서비스 개발‧운용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
활용하는 능력
▶ 핀테크 소프트웨어 전문인
소프트웨어 기술 이해 ‧ 활용 능력
소프트웨어 개발 및 응용에 필요한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
핀테크 기술 이해 ‧ 활용 능력
첨단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 서비스 및 비즈니스에 적용되는 핀테크 기술을 이해하고
활용하는 능력
사기업 : BNK, 우리은행, 신한은행, 국민은행 등의 은행업, 삼성증권/한국투자증권 등의 증권업, 투자회사, 일반 기업의 기획/재무/회계/경영전략 부서 등
공공기관 : 한국거래소, 한국은행, 한국예탁결제원, 한국자산관리공사, 한국주택금융공사, 주택도시보증공사, 신용보증기금, 기술보증기금, 신용보증재단, 부산경제진흥원 등
금융투자분석사, 신용분석사(CCA), 투자자산운용사(CIM), 신용위험분석사(CRA), 데이터분석준전문가(ADsP), 재무위험관리사(FRM), 증권분석사(CIA) 등